제목 | 위대한 세포 |
부제 |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발견들 |
저자 | 금동호 |
출판사 | 해나무 |
발행일 | 2019.04.10. |
페이지 수 | 328쪽 |
사이즈 | 152*224 |
도서 형태 | 반양장본 |
ISBN | 979-11-6405-013-0 |
분야 | 교양과학 |
정가 | 16,000원 |
도서 구매 사이트
도서 소개
이 책은 우리 몸속 세포의 탄생에서 소멸까지,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생물학적 발견을 흥미롭게 소개하는 교양 생물학 도서이다. 저자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의 수많은 연구 가운데 14가지를 골라, 세포가 생겨나 분화하고 분열하고 일하고 소멸하는 과정에서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과학자들이 무엇을 발견해 노벨상을 받았는지를 상세하게 조명한다. 하나의 세포는 세포분열을 통해 수를 늘리고, 세포들끼리 소통하며, 외부에 있는 적들에 방어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화되어 가다가, 마침내 죽음에 이른다. 저자는 이러한 세포의 일생이 인간의 삶과 무척 닮았다며, 과학자들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역동적이고 비밀스러운 세포의 일생을 흥미로운 시선으로 차근차근 들여다본다.
저자 소개
신경발생학자. 고려대학교 의과학과 교수. 원래는 문학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사춘기 때 충동적으로 이과를 선택함에 따라 과학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임신 중 스트레스가 태아의 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형질전환생쥐를 생산하여 뇌의 발생을 연구하며 박사 후 연구원 시절을 보냈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와 번햄 연구소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생산과 분화를 연구하며 교환교수 시절을 보냈다.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중이다. 연구실 이름을 ‘낭만적 과학을 꿈꾸는 사람들의 모임(Unit of Romantic Science Dreamers, URSD)’으로 하고 싶었으나, 사회 통념을 극복하지 못해 ‘신경발생학연구실’이라고 지었다. 연구 초창기 때는 개인적으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를 파헤치다가,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는 현재 루게릭병 환자의 줄기세포 생산과 분화를 이용한 질병모델링, 크리스퍼-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질병모델동물 생산, 세포치료제 생산과 신약 개발 등 인간을 무기력하게 죽이는 루게릭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세포를 들여다보다가, 인간의 일생과 묘하게 닮은 세포의 일생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고, 세포의 탄생, 소통, 노화, 죽음 등 세포가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사건들을 하나씩 보여주는 이 책을 쓰게 되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진, 마침내 태어나다 체외수정 시술의 개발
2장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 유전자
3장 외로움과의 끝없는 싸움 세포분열
4장 영원한 반복 일주기리듬 (생체시계)
5장 신인류의 탄생 유전자 바꿔치기
6장 늙은 세포를 젊은 세포로 만드는 마법의 물질 역분화 인자의 발견
7장 소통 G단백질결합수용체
8장 노화, 암, 줄기세포 텔로미어
9장 세포의 합리적 선택 자살 (아포토시스)
10장 대규모 숫자와의 전쟁 항체의 다양성
11장 이웃한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세포 집단 형성체 (신경계 형성의 비밀)
12장 다수결에 의한 민주적 의사결정 신경세포의 활동전위
13장 집단 부호화 향기
14장 인간을 인간답게 학습과 기억
나가는 말
노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목 | 위대한 세포 |
부제 |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발견들 |
저자 | 금동호 |
출판사 | 해나무 |
발행일 | 2019.04.10. |
페이지 수 | 328쪽 |
사이즈 | 152*224 |
도서 형태 | 반양장본 |
ISBN | 979-11-6405-013-0 |
분야 | 교양과학 |
정가 | 16,000원 |
도서 구매 사이트
도서 소개
이 책은 우리 몸속 세포의 탄생에서 소멸까지,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생물학적 발견을 흥미롭게 소개하는 교양 생물학 도서이다. 저자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의 수많은 연구 가운데 14가지를 골라, 세포가 생겨나 분화하고 분열하고 일하고 소멸하는 과정에서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과학자들이 무엇을 발견해 노벨상을 받았는지를 상세하게 조명한다. 하나의 세포는 세포분열을 통해 수를 늘리고, 세포들끼리 소통하며, 외부에 있는 적들에 방어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화되어 가다가, 마침내 죽음에 이른다. 저자는 이러한 세포의 일생이 인간의 삶과 무척 닮았다며, 과학자들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역동적이고 비밀스러운 세포의 일생을 흥미로운 시선으로 차근차근 들여다본다.
저자 소개
신경발생학자. 고려대학교 의과학과 교수. 원래는 문학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사춘기 때 충동적으로 이과를 선택함에 따라 과학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임신 중 스트레스가 태아의 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형질전환생쥐를 생산하여 뇌의 발생을 연구하며 박사 후 연구원 시절을 보냈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와 번햄 연구소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생산과 분화를 연구하며 교환교수 시절을 보냈다.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중이다. 연구실 이름을 ‘낭만적 과학을 꿈꾸는 사람들의 모임(Unit of Romantic Science Dreamers, URSD)’으로 하고 싶었으나, 사회 통념을 극복하지 못해 ‘신경발생학연구실’이라고 지었다. 연구 초창기 때는 개인적으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를 파헤치다가,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는 현재 루게릭병 환자의 줄기세포 생산과 분화를 이용한 질병모델링, 크리스퍼-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질병모델동물 생산, 세포치료제 생산과 신약 개발 등 인간을 무기력하게 죽이는 루게릭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세포를 들여다보다가, 인간의 일생과 묘하게 닮은 세포의 일생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고, 세포의 탄생, 소통, 노화, 죽음 등 세포가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사건들을 하나씩 보여주는 이 책을 쓰게 되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진, 마침내 태어나다 체외수정 시술의 개발
2장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 유전자
3장 외로움과의 끝없는 싸움 세포분열
4장 영원한 반복 일주기리듬 (생체시계)
5장 신인류의 탄생 유전자 바꿔치기
6장 늙은 세포를 젊은 세포로 만드는 마법의 물질 역분화 인자의 발견
7장 소통 G단백질결합수용체
8장 노화, 암, 줄기세포 텔로미어
9장 세포의 합리적 선택 자살 (아포토시스)
10장 대규모 숫자와의 전쟁 항체의 다양성
11장 이웃한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세포 집단 형성체 (신경계 형성의 비밀)
12장 다수결에 의한 민주적 의사결정 신경세포의 활동전위
13장 집단 부호화 향기
14장 인간을 인간답게 학습과 기억
나가는 말
노트
참고문헌
찾아보기
